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 < 폐암 치료제 렉라자, 국내 31번째 신약, 무상공급 > - 지난달 말, 식약처로부터 폐암 1차 치료제로 인정을 받은 ‘렉라자’는 국내 31번째 신약으로 유한양행에서 개발한 폐암 치료제입니다. - 2023년 7월 10일, 이 약을 개발하는데 성공한 유한양행이 ‘렉라자’를 건강보험 전까지 무상으로 공급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1. 렉라자(Leclaza) -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 -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이 폐암입니다. 폐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폐암의 종류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세포(非小細胞)폐암과 소세포(小細胞)폐암으로 구분하며 폐암 가운데 80~85%는 비소세포폐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국내에서 개발한 31번째 신약인 ‘렉라자’는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로서, 2022년 10월 다국적 3상 임상을 진행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2023.. 2023. 7. 11. < 레켐비, 알츠하이머 치매 신약 FDA 승인> - 지금까지 알츠하이머 치료제는 증상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밖에 없었으나 치매의 진행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최초의 약물이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CNN 등이 보도하였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의약품 안전처(식약처)가 2023년 6월부터 심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르면 내년 하반기 또는 2025년 초에 심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1.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 - AP통신과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레켐비는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 개발하였으며 20년만에 허가받은 최초의 치매 약물 치료제입니다. -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알츠하이머 치매 신약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를 정식 승인하였으며 기존의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인지 기능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치료제였.. 2023. 7. 11. < 치매 사회에서의 진정한 생존법 > 서서히 기억을 잃어가는 치매, 우리 국민들 대다수는 정확하게는 아니더라도 치매가 어떠한 질환이라는 정도는 다들 알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치매 초기증상 환자와 경도인지 장애를 가진 환자들을 위한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도 언론매체를 통해 접하였습니다. 아직 상용화가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며, 치매가 이미 진행된 환자들을 위한 약이 아니라는 점은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 지금까지 알츠하이머 치료제는 증상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밖에 없었으나 치매의 진행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최초의 약물이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CNN 등이 보도하 nicebnb1.niceinfor.co.kr 앞으로 치매 인구가 계속 .. 2023. 7. 10. < 모기향 제조 성분, ‘알레트린’, 안전성 재검토> 요즘, 날씨가 덥기도 하지만 국지성 폭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습한 여름입니다. 이렇게 덥고 습한 날씨에 불청객 모기가 극성을 부립니다. 이 모기가 우리를 불편하게 하므로 모기를 퇴치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을 사용하는 데요, 일반적으로 모기를 퇴치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였던 것이 모기향과 살충제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모기향과 살충제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성분인 '알레트린(allethrin)'의 안전성 여부를 환경부가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알레트린'에 대해 알아보고 모기에 대해 어떤 점들을 주의해야할지를 점검해보겠습니다. 1. 알레트린(allethrin) 국화꽃에서 발견되는 화학 물질인 피레트린(pyrethrin)을 인공적으로 합성한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pyrethroid insecticide).. 2023. 7. 10.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